간호조무사 필기시험 보건간호 과목에서 주요 감염병 질환과 예방 방법을 호흡기계 질환, 소화기계 질환, 성병, 으로 나누어 핵심 정리하였습니다.
목차
1. 호흡기계 질환
2. 소화기계 질환
3. 성병
1. 호흡기계 질환
(1) 세균성 질환
※ 결핵의 관리가 중요한 이유 : 감염병, 국민에게 영향, 예방이 가능, 환경위생과 밀접하기 때문, 결핵관리사업은 보건소를 통하여 국가에서 가장 체계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므로 보건소에 신고하여 체계적인 추후 관리를 받도록 한다.
▶ 결핵진단 및 BCG 접종, 치료방법 |
① 진단방법 →투베르쿨린 반응검사 : 결핵진단을 위한 것으로, P.P.D 0.1cc를 피내에 주사하여 48~72시간 후에 부어 오른 자리(경결)의 크기를 자로 재어 판독한다.(10mm 이상은 양성, 5mm 이내는 음성) →인터페론 감마 분비 검사 : 혈액을 채취한 뒤 결핵균 특이 항원으로 혈액을 자극시켜 T세포에서 분비하는 인터페론 감마 수치 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
② P.P.D액의 보관 : 언제나 차고 어두운 곳(냉암소)에 보관하며, 보관상의 온도는 2~5ºC이며, 햇볕에 쪼이면 효과가 감소한다. |
③ 투베르쿨린 반응검사시 양성으로 나오면 결핵균에 노출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보고 X-ray촬영(직접 촬영)을 해야 하고, 음성으로 나왔을 경우엔는 B.C.G 접종을 한다. |
④ 객혈시의 간호 : 상반신을 약간 높여 준다, 큰기침을 삼가하고 기침이 나올 땐 잔기침을 하게 한다, lce bag을 흉부에 대준다. 금식한다, 의사표시를 위한 필기도구 준비, 절대안정, 출혈한 객담이 많은 경우 3% Cresol에 30분간 둔 후 변소에 버림, 홑이불에 묻었을 때는 Cresol에 담구었다가 삶아서 뺀다. |
⑤ BCG접종 시 부작용의 원인 : 너무 깊이 주사하거나 접종부위가 불결했을 때, 투베르쿨린 반응검사 양성자에게 주사했을 때 |
⑥ BCG접종 부위 : 좌측 상박 삼각근 중앙부위, 피내주사 사용 |
⑦ 흉부 X-ray 촬영 직접촬영-진단의 정밀도가 우수해 질환의 호전상태를 확인시 사용 간접촬영-비용이 적게 들고 결핵의 발견이 용이하여 집단검진시 사용 |
⑧ 결핵집단검사의 이론적 검사순서 : 투베르쿨린 반응검사->X선 간접촬영->X선 직접촬영->객담검사 |
⑨ 결핵에 감수성이 높은 환자 : 3세 미만 소아, 영양결핍자, 부신피질 호르몬제 장기투여자 |
⑩ 폐결핵 전파의 예방법 : 환자의 객담을 종이에 싸서 소각, 환자 가족의 규칙적인 흉부X-ray 검사, 환자의 방을 자주 환기, 환자는 마스크 착용, 일광소독(환자 물품 중 재활용할 수 있는 침구, 의류등) |
⑪ 객담채취 시기 : 결핵진단을 위한 객담은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채취하도록 한다. |
⑫ 치료방법 → 6개월 요법 : 이소나이아지드, 리팜피신, 피라진아마이드, 에탐부톨 등을 2개월간 투여한후 피라진아마이드를 뺀 3가지 약제를 4개월간 투여하는 방법이다. → 9개월 요법 : 이소나이아지드, 리팜피신, 에탐부톨을 9개월간 투약하거나 이소나이아지드.리팜피신(9개월 투여), 또는 스트렙토마이신(6개월간 투약)과 병행하여 사용한다. → 초기치료 실패시 재치료 : 초기치료시 계속 복약하였음에도 불구하고 6개월 경과 이후 균이 계속 나오는경우 재치료를 한다.치료 시작전 미리 약제감수성 검사를 실시하며 초기치료에 사용한 모든 약제는 제외하고 과거에 사용하지 않았던 약제로 감수성이 있는 것을 최소한 3~4개 선택한다. 원칙적으로 18개월 이상 치료하며 부작용의 발현 빈도가 초기치료에 비해 높으므로 주의하여 관찰한다. → 재발환자 재치료 : 정해진 기간 초기치료 후 균이 나오지 않아 치료를 종결한 후에 다시 균이 나오는 경우, 이 경우 과거에 사용한 초기치료 약제에 감수성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원래 약제를 다시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나 초기치료 기간보다 3개월 더 연장치료한다. |
(2) 바이러스성 질환
2. 소화기계 질환
여름철 소화기 감염병 예방법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청결한 음식섭취 및 관리이다.
(1) 바이러스성 질환
① 간염환자 간호 시 주의사항
- 전염성 간염환자에게 전파의 가능성에 대해 교육시킨다.
- 혈청성 간염환자에게 사용했던 주사기는 일회 사용 후 버린다.
- 전염성 간염환자의 대. 소변은 반드시 소독 후 버린다.
- 사용했던 주사기의 바늘은 주사침통에 넣음으로써 찔리는 것을 예방한다.
- 간염환자가 먹다 남긴 음식은 동물사료로 사용하지 않고 소독 후 폐기 처분하고 식기는 소독한다.
② B형 간염 예방법
- 성교 시 콘돔을 사용하고 면역을 위해 예방접종을 실시한다.
- 간염환자의 혈액이 묻은 주사기는 분리해서 버린다.
- 사용한 주삿바늘은 뚜껑을 닫지 않고 일회용 용기에 버린다.
(2) 세균성 질환
3. 성병
성병은 매개물 없이 사람에게서 사람으로 직접 전파되며, 접촉자의 발견이 어렵기 때문에 그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성병환자를 간호할 때 환자에게 가장 강조해야 할 사항은 꾸준히 치료하면 치유될 수 있다는 것을 각인시키는 일이다. 부부 중 한 사람 감염 시 함께 치료한다.
(1) 임질
- 원인균 : Neisseria gonorrhea, 발생빈도 가장 높음.
- 전파방법 : 성교, 목욕탕, 옷, 침구, 신생아(산도 통해 감염)
- 후유증 : 남녀불임증, 요도염, 질식분만 시 신생아 감염
- 치료 : penicillin, ampicillin
(2) 매독(syphilis)
- 원인균 : 트레포네마 팔리튬으로 스피로헤타에 속하며 건조에 약함.
- 전파방법 : 직접 접촉전파(성교나 kiss), 태아감염(임신 4~5개월쯤 태반으로 감염)되기 때문에 임신 16~20주 내에 치료, 수혈 시 직접 혈액으로 들어감
- 특징 : 숙주 밖에서 장시간 생존하지 못한다.
- 진단 : 암시야 검사, 혈청검사(VDRL 테스트, Wassermen 테스트)
- 치료 : 광범위하게 penicilln사용, erythromycin, Tetracycline 사용, 부부 중 한 사람이 감염되었을 때 부부가 같이 치료받도록 한다, 태아의 선천성 매독 예방을 위해 임부에게 매독 검사를 실시한다, 완전히 치료될 때까지 성적 접촉을 피할 것을 교육한다, 매독은 직접 접촉에 의한 감염성 질환임을 설명한다, 매독은 치료가능한 질환이므로 성실히 치료에 임할 것을 권한다.
(3) 후천성 면역 결핍증(AIDS)
- 원인균 : HIV
- 전파방법 : 직접 전파
- 감염경로 : 보균자 및 환자의 혈액이나 주삿바늘, 감염된 사람과의 직접적인 성접촉(정액), 질분비물, 감염된 산모(HIV양성모체), 수혈 등(귀 뚫기, 문신, 면도기, 칫솔)
- 증상 : 만성적인 설사, 체중감소, 열, 구강 및 식도염, 온몸의 임파선 종창
- 사망원인 : 카리니 폐렴, 카포시 육종
- 진단 : 엘라이자법(ELISA 효소 면역법), 웨스턴 블럿법
- 관리대책 : 건전한 성생활, 보건교육 강화, 수혈에 사용되는 혈액의 철저한 검사, 환자와 감염자의 관리 및 추후관리
※ STD(성병, sexual transmitted disease)에 속하는 질환 : 매독, 임질, 연성하감, 클라미디아 감염증, 성기단순포진, 첨규콘딜롬, 비임균성요도염 등
▶ 성병환자 교육시 간호조무사의 태도 |
조기치료를 강조하며 환자발견에 힘쓰도록 한다. 건전한 성생활을 유지하도록 하고, 성교시 콘돔을 사용 임신 중 귀머거리, 장님 기타 합병증을 유발한다고 설명한다. 임신 중에 발견된 경우 완치가 가능하며 부부가 같이 치료받도록 교육시킨다 환자로 의심. 발견되면 즉시 치료를 받도록 조치한다. 임신 중에 매독에 감염되지 않도록 주위시킨다. 임질감염이 신생아 안염을 유발할 수 있음을 교육한다. |
'자격증 > 간호조무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건간호 : 환경보건 (0) | 2023.05.11 |
---|---|
보건간호 : 주요 감염병 질환과 예방2 (2) | 2023.05.10 |
보건간호 : 전염병 관리 (1) | 2023.05.09 |
보건간호 : 보건행정,보건의료,사회보장과 의료보장 (0) | 2023.05.08 |
보건간호 : 공중보건 (0) | 2023.05.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