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간호조무사

간호실습 : 핵심요점정리5(상처간호,수술환자간호돕기)

by 조지아여왕 2023. 4. 28.

간호실습 기본. 실기간호에서 상처간호, 수술환자 간호 돕기 부분을 핵심 정리 하였습니다.

 

간호실습 : 핵심요점정리5

 

목차

 

1. 상처간호

2. 수술환자 간호 돕기


1. 기본. 실기간호

 

상처간호

1. 상처드레싱

① 드레싱의 목적 : 출혈 방지(지혈), 미생물의 감염으로부터 상처 보호, 상처의 배설물 흡수를 돕기 위함, 상처의 오염 방지, 병원균 방어, 안위 증진, 상처표면의 열차단 증진, 상처 부위로부터의 배액 촉진

② 일반적인 상처 닦아내는 방향 : 깨끗한 곳에서 더러운 곳으로

③ 과산화수소수(H2 O2) : 드레싱을 할 때 가장 먼저 사용되는 소독약

④ 드레싱에 사용하는 소독수 : 붕산수, 과산화수소수, 포비돈 아이오다인(베타딘), 생리식염수

⑤ 상처 치유의 지연 요인 : 단백질 부족, 노령, 빈혈, 부종, 흡연, 비만, 스테로이드 복용

⑥ 드레싱  세트가 젖어 있을 때는 새것으로 교체해 준다.

 

2. 붕대법

① 붕대법의 목적 : 드레싱을 제자리에 고정, 부종 감소 및 방지, 압박을 가하여 지혈, 골절부위 고정 및 상처보호, 신체이상 교정, 편안감과 지지감 제공

② 붕대 감을 때 주의사항

  • 신체 말단부위에서부터 감기 시작한다.
  • 상처 위에서 붕대를 감기 시작하거나 끝내지 말아야 한다.
  • 피부표면이 서로 닿지 않게 하고 관절 부위는 구부린 채로 감는다.

③ 붕대법의 종류

  • 환행대 : 이마, 목, 손목, 발목 등의 드레싱을 고정할 목적으로 이용되며 어떤 붕대법이든 처음 시작과 마지막에 사용한다.
  • 사행대 : 드레싱을 가볍게 고정시키거나 국부를 계속 감되 중첩되지 않게 감는 방법이다.

 

수술환자 간호 돕기

1. 수술 전 간호

① 금식 : 수술 전날 밤 10시 이후부터는 수분이나 음식을 구강으로 섭취하는 것을 일절 금하고 환자는 물론 보호자에게도 교육시킨다.

② 관장 : 수술부위 오염 예방, 수술 후 오심과 구토 예방, 복부팽만으로 인한 통증 예방, 비눗물로 수술 전날 저녁에 청정관장 실시

③ 비눗물관장의 내용

  • 관장튜브 끝을 배꼽을 향하여 삽입한다.
  • 비눗물 온도는 40.5 ºC로 준비한다.
  • 튜브삽입동안 입을 벌리고 숨을 쉬게 한다.
  • 환자가 복통을 호소할 때 관장용액의 흐름을 잠시 중단하였다가 계속한다.
  • 관장 시 체위는 심스체위를 취하게 해 준다.

④ 수술부위 삭모는 대개 수술 전날 밤에 한다.

⑤ 삭모시 주의사항 : 솜털까지 완전히 제거하고 털이 난 방향으로 면도(삭모시 면도날 방향은 모발과 같은 방향으로)

⑥ 삭모의 이유 : 수술 부위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함

⑦ 삭모시 비누액을 바르는 이유 : 오물분해 및 체모 침투해서 지방질을 유화, 피부의 정상적인 지방질 유화

⑧ 복부수술환자의 삭모부위(제왕절개시) : 상부는 유두선부터, 하부는 서혜부 중간까지

⑨ 정서적 긴장감, 불안 등을 대화를 통해 해소하도록 돕는다.

⑩ 수술 전 정맥관 삽입을 실시하는 이유 : 마취제의 주입통로가 필요하며, 수분공급의 주입통로가 필요하여 응급약물의 사용을 대비하기 위해, 수혈을 대비한 주입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 감수성이 높다는 의미 : 어떤 병원체에 대해 저항력이 약하므로 병을 일으키기 위운 상태를 말한다.

⑪ 수술 전 NPO 시키는 목적 : 수술 도중 기도로 이물 흡입방지, 수술 후 구토 경감, 위를 비우기 위함.

⑫ 수술날 아침의 간호

  • 신체적 준비 : 머리핀은 다 빼고, 손톱. 발톱의 매니큐어 제거, 의치제거해 보관, 유치도뇨가 필요한 환자는 삽입한다.(소변정체로 인한 방광팽만을 예방하기 위함), 환자의 이름과 성별, 병동과 병실이 적힌 팔찌를 반드시 착용.
  • 수술 당일 아침에 기침이나 발열 등 감염증세의 유무를 관찰하고 이상이 있으면 보고한다.
  • 환자의 차트(금식 여부, V/S 측정, 피부 준비 상태, 수술 전 투약 등)나 방사선 필름, 수술서약서 등이 준비되어 있나 확인한다.
  • 수술 전 투약 : 수술 30분 전에 투약하며, 투약이 끝난 간호사는 side rail을 대준다.
 * 아트로핀의 투약 목적 : 수술 중 분비되는 호흡기계 분비물 억제와 수술 후 올 수 있는 호흡기계 합병증 예방
 * 모르핀의 투약 목적 : 긴장감 제거, 침대 난간을 올려주어 낙상 예방
 * 리도카인의 투약 목적 : 국소마취를 위해 사용되는 약품이다. 

⑬ 수술실에서 간호조무사의 임무

  • 간호사를 도와 일을 원활하게 처리하고 수술실의 제반청소를 보조
  • 모든 소독물품의 준비 및 관리를 보조, 팀원의 한 사람으로서 규칙 엄수
  • 수술실에서 손소독을 마친 간호사가 손을 들고 있는 이유 : 물을 팔꿈치 밑으로 흘러내리게 하여 손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
  • 수술 24시간 이내에 환자 상처에 드레싱이 젖을 때 거즈를 교환하지 않고 소독거즈를 덧붙이는 이유 : 상처감염 예방 위해서
  • 흡수성 봉합사 : Catgut, Chromic, Dexon 장선

2. 수술 후 간호

수술직후 금식해야 할 환자가 갈증을 호소하는 경우 입술에 젖은 거즈를 대준다.

① 수술 후 환자 간호의 목적 : 환자가 마취에서 깨어나도록 돕고, 수술 후 합병증(폐렴)을 예방하여 회복시키기 위함.

② 수술 후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연령, 비만 정도, 영양상태, 비뇨기상태, 심리적 상태, 탈수 상태, 검사 결과, 수술 전 감염 정도

③ 수술 후 의식이 없는 환자의 머리를 한쪽으로 돌려 눕히는 이유 : 분비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④ 마취회복기의 환자 간호

  • 마취에서 회복된 후 폐와 순환기의 합병증 예방과 객담배출을 위해서는 환자에게 심호흡과 기침을 시킨다.
  • 구토증상이 있으면 고개를 옆으로 돌려 질식을 예방하고 턱을 앞으로 당겨 준다.
  • 체위는 의식이 회복될 때까지 침상을 수평상태로 유지한다.
  • 특별한 증상이 있는 경우 즉시 간호사에게 보고한다.

⑤ 병실에서의 간호

  • 체위 : 수술 후 환자의식이 없을 대는 앙와위를 취하며 의식을 회복하면 반좌위를 취해 준다.(수술 후 많이 사용하는 체위는 파울러 씨 체위이다)
  • 체위변경의 목적 : 욕창 예방, 편안감 제공, 폐합병증 예방, 혈액순환 촉진

⑥ 수술 후 식이섭취단계 : 차-유동식-연식-경식-일반식의 순서이며, 수술 후 장운동이 있고 난 다음에 보리차를 준다(편도선 절제수술 환자식이 : 찬 유동식, 연식)

⑦ 수술 후 환자의 하지 운동 : 침대에 걸터앉아서 다리를 흔드는 운동을 격려하여 혈전성 정맥염을 예방한다.

⑧ 수술이 끝나고 기구를 세어보는 이유 : 수술 중 기구나 거즈가 복강 내에 들어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⑨ 조기 이상 : 수술 후 환자에게 체위변경과 조기 이상을 격려하는 가장 큰 이유는 호흡기, 순환기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 조기 이상의 효과 : 복부팽만을 예방, 혈전성 정맥염을 예방, 호흡기계 합병증(무기폐, 폐렴) 예방, 빠른 회복 촉진
  • 조기 이상을 권유(위수술 환자)할 때 고려사항 : 언제 하라고 가르쳐 주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계획한다, 왜 해야 하는지 또 어떻게 하는가를 가르쳐 준다.

3. 수술 후의 감염과 염증

수술 후 합병증으로는 상처감염, 발열, 폐렴, 무기폐, 심맥관 허탈 등을 들 수 있다.

  • 감염 : 병원체. 미생물이 인체나 동물체내에 침입해 조직이나 장기 속에 증식하고 있는 상태
  • 중복 감염 : 감염병을 앓고 있는데 또 다른 감염병에 걸린 경우
  • 교차감염 : 환자와 환자 사이에서 의료진이 매개체가 되어 교차적으로 감염시키는 것
  • 염증 : 인체의 손상으로 인하여 우리 몸 조직에서 나타나는 국소 반응
  • 염증성 삼출액 형성 : 삼출액이 손상부위에 형성되면 독소 희석, 영양분을 운반, 식균작용과 멸균작용을 한다.
  • 방어세포의 반응 : 식세포들은 식균작용(백혈구)을 하며 염증이 있으면 백혈구의 수가 증가하게 된다.
  • 망상내피세포 : 식균작용, 이물질의 제거, 면역체(항체) 형성
  • 섬유소에 의한 방어벽 형성 : 감염과 염증이 더욱 확대되는 것을 저지한다.
  • 방어적 장기 : 간, 골수, 임파절
  • 염증의 증상 : 국소증상(열감, 발적, 부종, 동통:4대 증상, 기능상실이나 수의적 운동 제한, 전신증상(식욕결핍, 체중감소, 전신쇠약, 무기력, 우울증, 의욕상실, 발열(전신적 발열), 맥박수 증가, 호흡수 증가, 백혈구 증가, 오한과 발한
  • 패혈증 : 세균의 독소가 전신에 퍼져 전신적 증상을 일으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댓글